본문 바로가기

##JavaScript5

Math.pow() 제곱 Math.pow()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제공하는 함수로,거듭제곱 연산을 수행합니다.두 개의 매개변수를 받아첫 번째 매개변수(base)의 두 번째 매개변수(exponent)만큼의거듭제곱을 계산하여 반환합니다. 구문:Math.pow(base, exponent) base: 거듭제곱의 밑수exponent: 지수 (얼마나 제곱할지) 예시:console.log(Math.pow(2, 3)); // 2^3 = 8console.log(Math.pow(5, 2)); // 5^2 = 25console.log(Math.pow(7, 0)); // 7^0 = 1 (모든 수의 0제곱은 1) 특이 사항:exponent가 음수일 경우, 결과는 1을 해당 base로 나눈 값이 됩니다.예를 들어 Math.pow(2, -2)는 1 / (2^.. 2024. 10. 8.
페이지 이동 : location.href location.href자바스크립트에서 href는 객체에 속해 있는 설정으로 현재 접속중인 페이지의 정보를 갖고있다.그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프로퍼티이기 때문에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데도 사용되고 있다.예시) 자바스크립트에서 location.href로 페이지 이동방법 function enrollPage() {           // location.href = "/views/member/memberEnrollForm.jsp";           // => 웹 페이지에서 폴더 구조를 그대로 노출하게 되면 보안에 취약!           // 서블릿을 사용하여 페이지 이동요청            location.href = "/enrollForm.me"; 2024. 9. 4.
요소에 접근하기 HTML 요소에 접근하기( 해당 요소 객체를 가져오는 것 ) 1) 아이디 속성을 이용하여 요소 가져오기 아이디로 접근     1번 영역      2) 태그명으로 요소 가져오기 태그명으로 접근              ITEM 1         ITEM 2         ITEM 3         ITEM 4         ITEM 5           3) name 속성을 이용하여 요소 가져오기   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취미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onchange="allCheck();">             전체 선택             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onchange="checkboxTrigger()">    .. 2024. 8. 20.
자바스크립트에서의 데이터 입/출력 자바스크립트에서의 데이터 입/출력 * window : 자바스크립트의 내장 객체로 브라우저 창이 열릴 때마다 하나씩 만들어지는 객체 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브라우저 창 안에 존재하는 모든 요소들의 최상위 객체 (생략 가능) * document : 웹 문서마다 하나씩 만들어지는 객체 (html 문서에 대한 정보들을 가지고 있음) 1. 데이터를 출력하는 구문  - [window.]alert("알림창에 출력하고자 하는 내용");  - [window.]console.log("콘솔창에 출력하고자 하는 내용");  - document.write("화면 상에 출력하고자 하는 내용");  - 선택한요소.innerHTML | .innerText = "선택된 요소에 출력할 내용"; 화면에 출력      * 요소에 출.. 2024. 8. 20.
자바스크립트란? 웹은 크게 3요소         - html : 웹 문서의 큰 틀을 잡기 위한 요소         - css  : html로 구성된 DOM에 다양한 스타일을 적용하기 위한 요소         - javascript : 웹 문서에서 이벤트가 발생했을 때 실행해야 할 기능(동작) 처리하기 위한 요소 자바스크립트 개요 1. 스크립트 언어란 ?  프로그램의 동작을 사용자 요구에 맞게 수행하도록 해주는 용도  빠르게 배울 수 있고 짧은 소스코드로 상호작용 되도록 고안됨 2. 자바스크립트 웹 브라우저에서 많이 사용되는 인터프리터 방식의 스크립트 언어 => 인터프리터 방식 : 코드를 한줄씩 읽어가며 바로 실행하는 방식 (실시간으로 텍스트 분석해서 실행됨) -> 코드에 문법 오류가 있으면 실행 시점에 알 수 있음 3... 2024. 8. 20.